싱가포르 항공은 서비스 품질이 뛰어나기로 유명해, 한국 여행객들 사이에서도 선호도가 높은 항공사입니다. 특히 서울에서 싱가포르를 오가는 노선은 출장이나 여행 모두에서 자주 이용되는 루트인데요.
많은 분들이 KrisFlyer 마일리지를 어떻게 하면 더 알차게 쓸 수 있을까 고민하시죠? 왕복 티켓 구매 시 필요한 마일리지, 실제 적립 가능한 마일, 그리고 이코노미에서 비즈니스로의 마일리지 업그레이드까지, 생각보다 조건과 차이가 많다는 점 알고 계셨나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서울–싱가포르 노선을 기준으로 마일리지 적립, 사용, 업그레이드에 대해 하나씩 정리해드립니다.
목 차
1. 서울-싱가포르 왕복 여행시, 마일리지 적립 얼마나 될까?
한국 사람들이 싱가포르 항공을 타고 가장 많이 여행 가는 곳이 싱가포르입니다.
서울에서 싱가포르 까지 비행을 한다면, KrisFlyer 싱가포르 마일리지 얼마가 쌓일까요?
왕복편의 경우, 이코노미 등급에 따라 다르지만, 이코노미 플렉시는 5,748마일이 적립이 됩니다.
이코노미 스탠더드는 4,312 마일, 이코노미 밸류 및 이코노미 라이트는 각 2,874 마일이 적립이 됩니다.
참고로 이코노미 플렉시 및 이코노미 스탠드만이 이코노미 클래스에서 비즈니스로 마일리지를 사용하여 업그레이드 가능합니다.
비즈니스 업그레이드 하면 승무원은 알까?
이코노미 항공권을 예약하고 마일리지로 비즈니스 업그레이드를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종종 구매한 이코노미 좌석이 비즈니스 업그레드 불가하다 하여 난감한 적이 있을텐데요, 이
50club.investingsmart.co.kr
2. 서울-싱가포르 왕복 티켓 구매, 마일리지 얼마나 필요할까?
서울-싱가포르 왕복 티켓을 KrisFlyer 마일리지를 사용하여 구매한다면, 마일리지가 얼마나 필요할까요?
싱가포르 항공 사이트를 확인 해보면, 티켓의 종류에 따라 54,000마일 또는 90,000마일이 필요합니다.
Economy Saver는 마일리지가 적게 들지마, 좌석 수가 적고, 변경, 환불이 제한적인 반면에, Economy Advantage는 더 많은 마일이 필요하지만, 좌석여유가 있고 변경과 환불이 유연합니다.
3. 서울-싱가포르 왕복 티켓 비즈니스 업그레이드 시 필요한 마일리지는?
서울에서 싱가포르 여행시 비즈니스 업그레이드를 계획 하고 계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대부분 KrisFlyer 마일리지를 사용하실 것 같은데요, 이코노미 좌석에서 비즈니스 좌석 (프리미엄 이코노미)으로 업그레이드 시 얼마의 마일리지가 필요할까요?
이코노미 플렉시를 예약하신 분들은 30,000 마일이 필요하며, 이코노미 스탠더드를 예약하신 분들은 48,000마일리지를 사용하여, 항공 좌석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습니다.
4. 마무리 하며
서울–싱가포르 노선은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 전략을 세우기에 아주 좋은 루트입니다. 마일리지 항공권을 예약할 때는 Saver와 Advantage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코노미 등급 내에서도 업그레이드 가능 여부가 다르니 반드시 운임 클래스를 체크하셔야 합니다.
특히 Economy Flexi 또는 Standard 클래스만 비즈니스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는 점은 꼭 기억해두세요. 앞으로 싱가포르 항공을 자주 이용하신다면, 마일리지 누적과 활용 계획을 미리 세워두시면 훨씬 효율적인 여행이 될 것입니다.
싱가포르 항공 마일리지 카드 혜택 정리 및 연간 적립 마일리지 예상
싱가포르 등 동남아시아 여행 시 싱가포르 항공 이용 많이 하시지요? 이코노미 이제 너무 힘들지 않으신가요? 퀄러티 있는 여행을 즐기기 위해 비즈니스 업그레이드를 원하시는 분들이 많아지
50club.investingsmart.co.kr
'기타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 크레마 효과, 몸에 좋은 이유 4가지! (0) | 2025.03.27 |
---|---|
롱블랙과 아메리카노의 차이, 같은 블랙 커피 아니다. (0) | 2025.03.27 |
비즈니스 업그레이드 하면 승무원은 알까? (0) | 2025.03.25 |
싱가포르 항공 마일리지 카드 혜택 정리 및 연간 적립 마일리지 예상 (3) | 2025.03.25 |
비타민 C 폭탄, 요즘 떠오르는 성분 카카두 플럼 이야기 (1) | 2025.03.24 |